기초라고 생각되는 것/문제풀이

[Swift] 백준 알고리즘 #1110

아렉스_Arex 2022. 2. 13. 23:19
반응형

문제 

0보다 크거나 같고,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주어질 때 다음과 같은 연산을 할 수 있다. 먼저 주어진 수가 10보다 작다면 앞에 0을 붙여 두 자리 수로 만들고, 각 자리의 숫자를 더한다. 그 다음, 주어진 수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앞에서 구한 합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를 이어 붙이면 새로운 수를 만들 수 있다. 다음 예를 보자.

26부터 시작한다. 2+6 = 8이다. 새로운 수는 68이다. 6+8 = 14이다. 새로운 수는 84이다. 8+4 = 12이다. 새로운 수는 42이다. 4+2 = 6이다. 새로운 수는 26이다.

위의 예는 4번만에 원래 수로 돌아올 수 있다. 따라서 26의 사이클의 길이는 4이다.

N이 주어졌을 때, N의 사이클의 길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
입력

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. N은 0보다 크거나 같고,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.

 


출력

  • 첫째 줄에 N의 사이클 길이를 출력한다.

내가 제출한 코드

1. while 문 / Force Unwarpping

import Foundation

let input = readLine()
var covertedInt: Int
var sumOfPlacevalue: Int
var units: Int
var tens: Int
var loopCount = 0


covertedInt = Int(input!)!

repeat {
    units = covertedInt / 10
    tens = covertedInt % 10
    sumOfPlacevalue = (units + tens) > 9 ? (units + tens) % 10 : (units + tens)
            
    covertedInt = (tens * 10) + sumOfPlacevalue
    loopCount += 1
}while Int(input!)! != covertedInt

print(loopCount)

 

2. while 문 / Optional Binding

import Foundation

let input = readLine() // 1~2자리 정수
var covertedInt: Int
var sumOfPlacevalue: Int
var units: Int
var tens: Int
var loopCount = 0

guard let input = input, input != "" else { exit(0) } // Optional Binding
guard let unwarppedInt = Int(input) else { exit(0) }
covertedInt = unwarppedInt //26

repeat {
    units = covertedInt / 10
    tens = covertedInt % 10
    sumOfPlacevalue = (units + tens) > 9 ? (units + tens) % 10 : (units + tens)
            
    covertedInt = (tens * 10) + sumOfPlacevalue
    loopCount += 1
}while unwarppedInt != covertedInt

print(loopCount)

생각정리


입력 N은 0보다 크거나 같고, 99보다 작거나 같은 정수이다.

readline() 명령어는 사용자가 어떤 입력을 하더라도 Optional String으로 반환해준다.

그래서 보통 다른 분들은 force unwarpping operator를 사용해서 readline()! 을 Force unwrapping을 이용해 옵셔널 해제해준다.

물론 문제풀이에 맞춰서 푸는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실무와 거리감이 있어보인다고 생각을했다.

그래서 gurad let를 이용해 옵셔널 바인딩을 문제풀이에도 포함시켜보았다.

 

문제풀이에 대한 생각은 자릿수를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? 에 대한 해법만 있다면 쉬운편인거같다.